세상만사

은퇴후의 노후생활비 과연얼마면 가능할까?

❤행복한뉴스❤ 2021. 11. 25. 21:25
반응형

오늘은 과연 은퇴후의 노후 생활비가 얼마정도면 될까? 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눠볼려고 합니다.

늙지 않는 사람은 없기 때문에 누구나 억만장자가 아니면 노후걱정에 대해서 생각을 하시지 않는 분은 아무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럼은 현재 기준으로 해서  과연 얼마정도가 있으면 노후걱정을 아주는 아니지만 인간다운 노년을 보낼수가 있을까에 대한 해답아닌 해답을 찾아 볼려고 합니다. 인간이 노동력이 나이가 들수록 떨어지고 언젠가는 은퇴의 시기가 올수가 있기때문에 젊었을때. 아니 중년이 되었을때. 미리미리 관심을 가지고 노후대책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는것이 중요합니다. 과연 좀더 편안한 노후 생활을 위해서 얼마정도의 금액이 필요할까요?

 

1.은퇴후의 필요한 노후자금이 과연 얼마정도면 될까? (설문조사 기준)

최근 국민연금연구원에 따르면 적정 노후 생활비는 268만원정도의 통계가 나와 있고 최소 노후생활비는 부부기준 195만원정도라고 합니다. 현재 기준이기때문에 10년후 20년후의 노후 금액으로 따진다면 많이 달라지겠지만 일단 현재기준의 금액이라서 어느정도 공감하는 부분도 있겠지만 상당히 의외의 금액이라고 생각하시는분들도 있겠죠.

 

통계층 기준으로는 2020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이상적인 은퇴후의 생활비가 294만원 가구기준입니다. 국민연금보다는 조금 높은 금액으로 거의 300만원대에 육박하는기준이죠. 그리고 또다른 조사통계에 의하면 하나금융그룹에서 조사한 수치로는 은퇴후의 충분 생활비가 352만원이고 필수생활비가 203만원으로 조사가 되었습니다.

 

세개의 조사가 어느정도 차이는 있지만 평균값을 정해보면 매월 300만원정도가 있어야 충분한 노후생활을 즐길수가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됩니다. 물론 개인차이가 있겠지만 많은 분들이 공감할수 있는 금액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평균적으로 사람의 수명이 90세정도로 보고 은퇴의 시기를 60세로 잡는다면 30년간의 노후 생활이 보장이 되어야 하는데요. 국민연금기준으로 봤을때는 약 9억원 통계청 기준으로 봤을때는 10억원 하나금융그룹 연구센터의 기준으로 봤을때는 약 12억원정도인데요. 평균값으로 보면 약 10억원정도는 은퇴전에 모아 둔 상태여야 노후 생활이 어느정도 보장이 된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2. 과연 실제노후 생활비 사용 수치

그럼은 노후 생활비의 기준을 설문조사를 통해서 본 결과 수치와는 달리 실제로 통계청의 2020년 가계동향조사 보고서에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50대 이상으로 기준을 잡고 50대는 월388만원 60대는 260만원, 70대는 167만원 80대는 122만원정도가 지출이 되었다고 통계청에서 발표를 했습니다. 설문조사의 기준으로 봤을때와 실제 통계를 봤을때는 어느정도의 차이가 있긴 하지만 300만원정도를 월 사용기준으로 봤을때는 약간은 줄어든 금액입니다. 

 

3. 노후생활에 있어서 가장부담을 느끼는 지출항목은 무엇인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2020 노인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65세 이상의 고령자들이 가장 부담을 느끼는 항목은 식비부분이었습니다. 응답자 전체의 46% 이상이 식비라고 답을 했고 주거관리비가 23% 의료비가 10% 라고 응답을 했습니다. 제생각으로는 의료비가 상당부분 부담을 느낄것으로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식비와 주거비에서 상당한 부담을 느낀다고 생각을 하고 있는거 같습니다. 식비와 주거비는 가장 일반적이고 주된 부분이고 의료비는 사회적 요건에 따라서 어느정도 줄어 들수도 있는 부분이라서 이러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을까 봅니다.

 

 

 

결론: 평균적으로 현재 예상하는 노후 생활비는 200에서 350만원정도의 수준으로 총 30년기준으로 잡았을때 노후생활비는 10억정도가 필요할것으로 보이고 실제적으로 통계청에서 발표한 실제 생활비는 총 7억정도의 수준으로 잡혀 있습니다. 그리고 식비. 주거비. 의료비 등의 순으로 많은 지출이 예상되므로 이에 맞는 노후 준비가 필요한듯합니다. 일단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는것도 가장 중요한 노후 대비 이고 그리고 주거를 안정적으로 갈수 있는 집마련도 중요합니다. 

 

요즘은 평생직장도 없을 뿐만 아니라 평생직장이 될수 있는 여러가지 일들이 많습니다. 본인에게 맞는 노후대책을 세우는것이 가장 중요할듯한데요. 직장생활만으로 노후 대책을 세우는 어리석음은 범하지 말아야 겠다는 생각도 들구여.평생직장.즉 60대 이상이 되어도 큰 노동력이 없어도 일할수 있는 자신만의 노하우를 연구 개발해서 , 은퇴후에도 일할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것이 노후대책이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반응형